이 묵상자료는 매일 게제됩니다.
---------- [ Original Message ] ----------
Subject: 5월 2일의 묵상자료 입니다.
Date: Wed, 02 May 2012 04:03:09 +0900 (KST)
From: "박성완" <lutherfriend@hanmail.net>
To: "정태한" <bigguy05@paran.com>
묵상자료 4003호(2012.05.02. 수요일) (지은 이: 박성완목사/옥수동루터교회 당회장) 시편 146:01-05 1 할렐루야 내 영혼아 여호와를 찬양하라. 2 나의 생전에 여호와를 찬양하며 나의 평생에 내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3 방백(方伯)들을 의지하지 말며 도울 힘이 없는 인생도 의지하지 말지니 4 그 호흡이 끊어지면 흙으로 돌아가서 당일에 그 도모(圖謀)가 소멸하리로다. 5 야곱의 하나님으로 자기 도움을 삼으며 여호와 자기 하나님에게 그 소망을 두는 자는 복이 있도다. 본문 데살로니가전서 02:01-12 1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 가운데 들어감이 헛되지 않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아나니 2 너희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하였으나 우리 하나님을 힘입어 많은 싸움 중에 하나님의 복음을 너희에게 말하였노라. 3 우리의 권면은 간사(奸詐)함이나 부정에서 난 것도 아니요. 속임수로 하는 것도 아니라. 4 오직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어 복음 전할 부탁을 받았으니 우리가 이렇게 말함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 함이 아니요.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함이라. 5 너희도 알거니와 우리가 아무 때에도 아첨의 말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아니한 것을 하나님이 증거하시느니라. 6 또한 우리는 너희에게든지 다른 이에게든지 사람에게서는 영광을 구하지 아니하였노라. 7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마땅히 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나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유순한 자 되어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하였으니 8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으로뿐만 아니라 우리 목숨까지도 너희에게 주기를 기뻐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 9 형제들아 우리의 수고와 애쓴 것을 너희가 기억하리니 너희 아무에게도 누(累)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밤낮으로 일하면서 너희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였노라. 10 우리가 너희 믿는 자들을 향하여 어떻게 거룩하고 옳고 흠 없이 행한 것에 대하여 너희가 증인이요 하나님도 그러하시도다. 11 너희도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너희 각 사람에게 아버지가 자기 자녀에게 하듯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노니 12 이는 너희를 부르사 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 하나님께 합당히 행하게 하려 함이니라. 찬송 252장 < 기쁜 소리 들리니 > 위 찬송을 직접 듣고자 하시면 아래를 클릭하시고 http://bible.c3tv.com/hymn/hymn_open_past.asp 새로 열린 창 왼 쪽 위에 "버전선택" 줄에서 우측에 있는 “구찬송가”를 클릭하시고, 바로 아래줄 우측 “바로듣기” 왼쪽 사각 빈칸에, 위 찬송가의 장 숫자(“252”)를 치시고 “바로듣기”를 클릭하세요. 새로운 작은 창이 열리고 찬송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제목: 진심을 털어놓는 단 하나니의 이유 1.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엄마에게 무조건 모두 떠맡기기에 세탁은, 특히 나이 드신 어머니께는 참 죄송한 일입니다. 세탁은 세탁기가 한다고 해도, 그걸 햇볕에 널고 뒤집어 주고, 말려 고르게 펴서 개는 일이 적지 않게 힘이 드는 일이니까요. 하지만 힘드는 것과 상관없이 옷이든 뭐든 깨끗이 세탁해서 햇빛 아래 차근차근 너는 일은, 그 자체로 기분 좋은 일이기도 합니다. 마음까지 다 깨끗하고 정갈하게 정화되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요. 직접 하지 않더라도 때론 지나가다가 세탁물이 널린 풍경을 보는 것만으로도 그런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특히 마당을 가로 지르는 긴 빨래 줄과 거기 걸린 옷이며 양말들을 볼 때면, 더더욱 맑고 깨끗해지는 느낌이 들지요. 화가 에공 슐레는 남자였지만, 그의 눈에도 빨래줄 풍경이 남달라 보였던 걸까요? 그 역시 <빨래가 널린 집>이라는 제목의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가 그린 집은 체코의 유명한 체스키크롬로프 마을에 있는 집이었습니다. 체스키크롬로프는 프라하에서 세 시간 거리에 있는 작은 유적도시이지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동화 같은 마을입니다.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18세기 이후로는 새로 지어진 건물이 없는 그런 마을입니다. 그래서일까요? 1917년에 에공 슐레가 그린 집이나, 불과 몇 년 전에 가서 봤던 체스키크롬로트의 집들이나, 똑 같습니다. 그의 그림 속 빨래들이 몇 시간 전에 방금 펼쳐놓은 것처럼 느껴지지요. 동화 속 마을 같은 그곳에도, 빨래하는 일상이 있었고, 그 일상의 순간에 영혼이 다 정화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 여성들이 있었으리라는 실감에, 따스한 봄 햇살이 비치는 마당의 빨래줄 풍경이 더욱 그리워지네요. <KBS FM 1. 노래의 날개위에, 2012년 3월 15일 방송>b. 2. 자존심이 강하다는 사람들이 하기 싫어하는 것이 <자기변명>일 것입니다. 구차하고 때론 치사하다고 생각되는 때문 입니다. 오늘 본문은 사도 바울의 자기변호라고 알려진 말씀입니다. 이와 비슷하거나 정 반대로 생각되는 <간증>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 간증이라는 것을 썩 달갑게 여기질 않습니다. 한국 개신교회를 어지럽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간증이라고 생각하는 때문입니다. 어쩌다가 간증집회의 달인이 된 분들이 있습니다. 그분들의 얘기 주제는 동일한데, 얼마나 진화를 했는지 내용이 새로운 차원으로 업그레이드 된 경우는 충분히 짐작한 대로입니다. 그래서 어떤 간증자에게 “왜 거짓말을 하느냐?”고 물으니까, 은혜만 받게 하면 거짓말은 면죄부를 받는 것 아니냐고 대답하더랍니다. 사도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 교인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많았습니다. 그러면서 노골적으로 진솔한 용어를 총 동원합니다. “우리의 권면은 간사함이나 부정에서 난 것도 아니요, 궤계에 있는 것도 아니라”고 말입니다. 그리고 또 계속하기를 “우리가 아무 때에도 아첨의 말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아니한 것을 하나님이 증거하신다.”고 말입니다. 심지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으로만 아니라, 우리 목숨까지 너희에게 주기를 즐겨하며”, “너희 아무에게도 누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밤과 낮으로 일하면서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였노라.” 라고 말입니다. 무슨 말을 하려고 이렇게 장황스럽게 사설은 늘어놓는 것일까요?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사도는 자신의 진정성 혹은 순수함을 털어놓고 싶었던 것입니다. 사도 바울의 이러한 자기변호는 제 공로를 알리려는 다른 간증들과는 차원이 다르지 않습니까? 복음만을 전하기 들어내기 위해서라면, 어떤 희생이나 비난도 감수할 그런 마음을 엿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3. 짧은 대심방이지만, 교우들의 삶의 현장을 보고 들을 수 있는 것은 목회자의 의무사항입니다. 삶의 오르막길에서 너무 빨리 가려고 힘쓰지 말라고, 쉬엄쉬엄 가자고 말씀드리기가 참 힘이 듭니다. 끝없는 오르막길이니 말입니다. 주님의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
'묵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상자료(2012.05.04. 금) <안티(anti) 크리스천의 시험에서> (0) | 2012.05.04 |
---|---|
묵상자료(2012.05.03. 목)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0) | 2012.05.03 |
묵상자료(2012.05.01. 화) <무엇을 기억하십니까?> (0) | 2012.05.01 |
묵상자료(2012.04.30. 월요일) <우리가 사모할 복이란?> (0) | 2012.04.30 |
묵상자료(2012.04.29. 일) <하나님의 자녀 된 신분> (0) | 2012.04.29 |